한국은행이 지난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7년 8월 이후 14년 9개월 만에 처음인데요. <br /> <br />기준금리 인상 배경과 관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자간담회를 진행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] <br />여타 국가들은 높은 수출 증가세, 소비개선 등으로 대체로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주요국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가 상당폭 강세를 나타내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되면서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경기는 대외 리스크가 증대하는 가운데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설비투자가 글로벌 공급 차질로 조정을 지속하고 수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민간 소비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빠르게 회복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물가상승률은 석유류 가격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전기, 가스요금이 인상된 데다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 가격의 높은 오름세도 지속되면서 4월 중 4.8%로 크게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3.1%로일반인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3.3%로 상승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가속 전망,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의 영향을 받아 주요 가격 변수가 상당폭 등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상승하였고 주가는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장기 시장금리는 국내외 정책금리 인상 기대가 강화되면서 상승하다가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 안정 상황을 살펴보면 4월 중 금융권 가계대출은 1/4분기 중 감소세에서 소폭 증가로 전환하였고 주택매매가격은 보합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경제전망 이후의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앞으로의 성장과 물가 흐름을 다시 한 번 점검해 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, 금년 중 경제성장률은 지난 9월 전망치였던 3.0%를 다소 하회하는 2.7%로 전망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방역조치 완화, 정부 추경 등 상방 요인과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, 주요국 금리 인상 가속, 중국 봉쇄 조치 등 하방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금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공급 측 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52611130789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